반응형
[혼자 공부하는 파이썬] 교재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
인덱싱(문자 선택 연산자) : []
인덱싱(문자 선택 연산자)는 문자열 내부의 문자를 선택하는 연산자이다.
프로그래밍 언어엔 인덱스 유형이 두 가지가 있다. 제로 인덱스는 숫자를 0부터 세는 유형이고, 원 인덱스는 숫자를 1부터 세는 유형을 말한다(첫 글자의 순번을 0으로 보냐, 1로 보냐 그 차이). 파이썬에서는 첫 글자를 0으로 보는 '제로 인덱스'를 사용한다.
print("Hello"[0]) #출력결과 H
print("Hello"[1]) #출력결과 e
print("Hello"[2]) #출력결과 l
위 예시로 보면 파이썬은 제로 인덱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"Hello"[0]의 결과가 H로 나온다.
대괄호 안에 음수도 들어갈 수 있다. 인덱스는 왼쪽부터 0으로 시작했다면, 대괄호에 음수를 넣게 될 경우엔 오른쪽부터 -1로 시작한다.
print("Hello"[-1]) # 출력결과 : o
print("Hello"[-2]) # 출력결과 : l
인덱스 범위를 넘는 숫자를 대괄호 안에 입력했을땐 IndexError(index out of range) 에러가 발생한다.
당연한 말이겠지만 문자열의 길이를 넘는 숫자는 입력하지 못한다.
슬라이싱(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) : [:]
print("Hello"[1:4]) #출력결과 ell
문자열의 특정 범위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. 인덱스가 0부터 시작한다는 점과 범위 지정시 마지막 숫자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. 위 코드의 결과는 ello가 아닌 'ell'이 나오게 된다.
print("Hello"[1:]) # 출력결과 ello
print("Hello"[:3]) # 출력결과 Hell
위 예시와 같이 콜론(:)의 앞이나 뒤의 숫자를 생략하여 끝 위치까지 지정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.
슬라이싱으로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여 사용해도 원본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.
반응형
'자기계발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기본6. elif구문 (0) | 2022.02.26 |
---|---|
[Python] 기본5. 날짜/시간 활용과 if()함수 (0) | 2022.02.26 |
[Python] 기본4. 문자열 다루는 format() 함수 (0) | 2022.02.25 |
[Python] 기본3. input() 함수로 데이터 입력받기 (0) | 2022.02.23 |
[Python] 기본1. 식별자 (0) | 2022.02.22 |